땅 따먹기 게임인 바둑의 득점에 대한 개념을 설파하고자 한다.
네 가지 가능한 방도가 있다.

 

면적

면적 − 착점 수

면적 − 공지

접선상의

 

~1st   '면적' = “돌 밑에 깔린 점 + 동색의 돌들이 둘러 싼(선을 차단하고) 점(가로선과 세로선이 만난 자리)”

~2nd   '착점수' = “바둑판에 놓았던(따내지건 남아 있건) 모든 돌”

~3rd   직접적인 개념은 반상에 살아남은 돌의 갯수이지만, 엄밀하게 논하자면 돌 밑에 깔린 '자릿점의 수'다. 돌로 점유하여 득한다는 정의가 되는 것이고 여기서 돌은 이 자리가 자신의 점유지임을 나타내는 표석과도 같은 역할이다. 돌로 둘러싼 빈 자리는 자기 땅이 아니다. 돌을 놓을 수 있어야만 진실로 자기 땅(득점)이라는 굳건한 논리이다. 각 그룹마다 거점 유지를 위해 필요한 활공이 있어야하므로 같은 면적이더라도 흩어질수록 돌 수가 줄고 뭉칠수록 늘어난다.

~4th   흑백 둘 중에 한 가지 색깔에만 이어진 선상의 점을 득점으로 한다는 논리.

 
 
 
 

예시도

따낸 돌: 좌변一선, 상변二선
       
ⅰ 어차피 같은 면적이니 편의상 공지는 자유로이 정리하고 색점을 더한다. 일방 계점시 편의상 고정값을 유지하기 위해 비득점을 절반씩 양방이 취하는 관행이 있는데 결과는 역시 같다.
ⅱ 착점수를 맞추기 위해 퇴출되었던 반외석을 다시 반상에 올린다. (실물 대국에서의 계점 방식이자 편의)
ⅲ 끝내기까지 다 마쳤으면 굳이 착점 차례 따지지 않-편의상-고 각자 그냥 메꿔도 무방하다.
돌의 전체 갯수를 미리 알아두고 시작했다면 반외석을 세는게 쉽고 빠르다.
ⅳ 득-비득점 돌들을 분간하여 세기가 지난하니 공지로 정리한 후 세는 것을 권한다. 정리전 사진 한 방 찍어놓는 것을 권한다.


83 : 77
17 : 11
78 : 74
24 : 18
 
↓ ↓ ↓ ↓
       
이것은 별다른 끝내기 없이 임의로 그린 것이니 예외지만
한 판의 실전 기보를 가지고 비교해보려면
끝내기부터 각 방식에 맞게 다시 놓아봐야 한다.
끝내기가 달라서 같은 기보일 수 없기 때문이다.

ⅳ) 백1이면 a가 득점. 흑1이면 a 득점을 저지. 양방 유의미.
ⅱ) 누가 두어도 무의미. 무득점.
ⅰ) ⅲ) 누가 놓던 1이 득점.
 
 
 
 
공점 + 색점

15+8+1+11+3+8+5+4+8+10+10   :   12+7+8+8+15+4+2+15+6
               
一黑, 一白, 盤外二石登盤上.

10+2+1+1+1+1+1   :   10+1
               
백의 눈이 두 개 더 적은만큼 i의 결과와 2점 차이

25+6+4+8+5+4+8+9+9   :   25+4+3+15+4+2+15+6
               
편의상 세기 쉽게 돌을 빼어 공지로 만든 모습

18+1+1+1+1+1+1   :   14+1+1+1+1





Quick Edit